본문 바로가기

City Life/정치

개성공단의 실질적 피해자들은 아직도 신음하고 있다.

반응형

6.15 남북공동선언 21주년이 됐다. 남북이 이뤄낸 가장 큰 성과라고 불렸던 개성공단이 열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

이재철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은 개성공단이 하루 빨리 재개되어 협회사람들이 하루라도 빨리 들어가 공장을 확인하고 싶다는 입장이다.

이재철 협회장은 "공단 가동이 중단된 지 벌써 5년이 지났다. 두고 온 설비와 원자재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라도 빨리 공단에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남북한 정부가 나서서 개성공단 문제를 하루빨리 해결해야 한다고 힘주어 주장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대한 해결법도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해야 실질적인 피해자들이 구제 받을 수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안 2375호는 남북한 신규 사업은 물론 기존의 합작 사업을 전혀 허락하지 않는 조항이다.

 

현재 개성공단 입주 기업 125개 중 5개 업체는 폐업을, 20개 업체는 휴업에 들어가 있다.

그 외 기업들은 이미 베트남, 동남아시아 지역 등으로 공장을 이전하거나 한국으로 돌아와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개성공단의 공장을 접고 다시 시작해야 했던 사업에 재투자해 손해가 가중되었고 이에 경제적 손해는 이루 말할 수 없다고 한다.

 

이재철 협회회장은 개성공단 철수로 인해 경제적 손해가 막대하고 이에 대한 피해는  여전히 해결돼야 할 문제라고 말하고 있다.

 

지난 2016년 개성공단 가동 중단 이래 입주기업들이 입은 피해 규모를 약 7800억으로 추산했고 보험금과 기타 보상금으로 5500억 원 상당이 지출 됐지만 아직 2300억 원이 남았다고 한다.

잔여 보상금에 대한 지급이 하루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고 피해를 입은 업체들이 주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