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ty Life/인문사회

(영연배) 500일간의 썸머

반응형



영화로 배우는 연애 - 500일간의 섬머 (2009, 조셉 고든 레빗, 주이 디샤넬 주연)





진정한 사랑을 믿지 않는 여자와 사랑이 있다고 믿는 된 남자의 이야기인 500일간의 썸머는 사랑하는 여자들에게 차인 남자들에게는 교과서 같은 영화다. 건축학개론에서 엄태웅이 첫사랑을 묘사한 단어 쌍연. 이 영화에서도 남자주인공이 엄청나게 사랑한 그녀도 그에게는 결국 쌍연으로 남는다. 사람들은 곧 잘 이야기 한다. 사랑도, 연애도, 결혼도 모두 타이밍이라고. 누군가는 사랑을 느끼고 넘치는 사랑을 주지 못 해 안달이 나지만 누군가는 그런 사랑을 부담으로 느끼기도 한다. 한 사람이 다른 누군가를 좋아 할 때 동시에 사랑에 빠질 확률이 높은지 낮은지 알 수는 없지만 우리가 첫사랑에 아픔을 겪고 두번째 사랑의 쓴 맛을 느끼며 되새기는 말은 대체 내 사랑은 어디에 있는걸까라는 질문이다. 





톰: 만약 사랑에 빠지게 되면 어떻게 할 꺼야? 


썸머: 글쎄, 사랑이 있다고 믿는 건 아니지? 그렇지? 


톰: 사랑이잖아, 산타 클로스 같은게 아니라구 





톰은 건축가를 꿈 꿨지만 건축과는 상관 없는 카드제작 회사에서 근무한다. 그러던 어느 날 그 회사에 입사하게 된 썸머를 보고 사랑에 빠지게 된다. 그녀의 주위를 맴돌며 그녀와 가까워 질 기회를 만들기 위해 고군부투 하는 톰의 모습은 사랑에 빠진 남자들의 모습을 아주 처절하게 잘 묘사하고 있다. 어떻게 인사해야 할 지 우연하게 둘이 있을 땐 무슨 말을 해야 할 지 어떤 옷을 입을지 그녀가 좋아하는 건 무엇일지 등등 그녀와 가까워지기를 원하면서도 그녀의 주변에만 가면 긴장 백배로 평소의 자신의 모습을 잊어 버리는 평범한 남자 톰. 그런 그의 노력 덕인지 결국 썸머와 데이트를 시작하게 된다. 그가 썸머와 데이트를 시작하게 되었을 때는 세상의 모든 것을 가진 듯 한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 그런 행복감에 젖어 그녀와 함께 하는 하루 하루는 천국이 따로 없다. 


그녀와 데이트를 하고, 그가 좋아하는 것과 생각을 나누고 그녀의 과거를 듣고 과거에 신경쓰면서도 그녀와의 행복한 연인 생활을 이어가게 된다. 하지만 사랑을 믿지 않는 썸머의 마음을 결국 얻지 못 하고 그녀와 이별한다. 그녀가 보내는 이별의 신호를 눈치채지 못 했던 톰은 이별 후 시간이 지나 그녀가 이별의 징후를 보이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썸머와 이별하게 된 톰은 술에 빠져 폐인과 같은 생활을 하게 되고 그녀와의 이별로부터 헤어나오지 못 한다. 





그렇게 시간을 보내고 어느 정도 정신을 차렸을 무렵 다시 썸머와 다시 우연하게 조우하게 된다. 그녀와 조우 한 톰은 다시 예전으로 돌아 갈 수도 있다는 희망을 품기도 하지만 그녀의 손에 끼어진 약혼 반지를 보며 다시 절망 속으로 빠져든다. 사랑이 없다고 믿는 썸머의 손에 끼어진 약혼 반지를 보며 톰은 혼란의 혼란을 거듭한다. 나에게는 느끼지 못 한 사랑을 누군가에게 느꼈다는 것에 아마 자존심도 상했을 것이고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과는 사랑이 가능 하다는 것을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할지도 몰랐을 것이다. 자신이 사랑한 여자가 자신에게 느끼지 못 했던 사랑을 다른 사람에게 느꼈다고 한 다면 어떤 생각을 하게 될까? 


여동생: 그 여자가 오빠가 좋아하는 이상한 것들을 똑같이 좋아한다고 해서, 그 여자가 오빠의 소울메이트라는 의미 아니야. 


짝사랑할 때 스스로에게 묻는 질문 중에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그 사람이 과연 나를 사랑하게 될 까 와 그 사람이 나를 싫어하진 않을까? 라는 질문들이다. 나를 사랑하지 않음에도 내가 사랑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도 모른채 그 사람을 사랑할 수 밖에 없는 사람들. 톰도 그런 사람 중에 한 명이었다. 썸머의 결혼소식을 들은 톰은 회사를 그만두고 다시 건축가의 꿈을 쫓아 가기 시작한다. 어느 덧 썸머를 잊게되고 마음의 안정을 찾게 된 톰은 다시 썸머와 만나게 되고 둘은 서로가 잘 지내는 모습에 만족하며 다시 작별의 인사를 고 한다. 


이 영화가 전달하는 메세지는 이렇다 여름과 같이 뜨거웠던 사랑과 이별에서 벗어나 가을과 같은 사랑을 만나게 될지 모른다는 것. 사람은 떠나도 또 다른 사랑은 찾아 온다고.





반응형